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 로고

제공정보 안내

업종과밀도

정의 : 사업체가 시장균형을 이룰 수 있는 적정한 정도를 넘어서 한 상권에 밀집하여 분포한 정도
구축내용

• 알고리즘 : 2013 - 2017년 상권정보 데이터를 활용한 GMM 모형
• 활용변수 : 동종업종 업체수, 상존인구(만명), 상주인구(만명), 직장인구(만명), 1인당 소득(백만원), 월매출, 동종업체 매출총합(백만원), 동종업체 매출 성장률,
공시지가(백만원/㎡), 공시지가 변동률, 동종업종 프랜차이즈 업체수, 임대료(백만원/㎡), 임대료 변동률, 전년도 동종업종 업체수

• 𝑁_𝑖 : 기업 i의 반경 500m 내 실제 동종 업체수
• 𝑁_𝑖^∗: 균형상태에서의 기업 i의 반경 500m 내 적정 동종 업체수
• α : 월매출액 규모로 관찰되는 기업특성(고정효과)
• Z : 창폐업에 영향을 미치는 상권특성
• 𝜆 : 조정속도
• ε : 오차항


창업위험도

정의 : 최근 3년간 폐업률과 생존율을 관측, 해당 지역내에서 창업기업의 생존확률을 추정하여 제시된 위험 정도
구축내용
창업위험도 개념 및 구성

생활밀착형 업종(100개)의 창업위험도로 폐업률과 3년 생존율의 결합지표
“위험”정도를 나타내는 데에는 어느 시점의 상대비교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함으로
표준화구간(3년)을 이용하여 (횡적*종적)상대화 지수를 구현
※ 활용데이터셋 - 상기업소DB

개별지표 표준화

지표1 : z폐업률, 지표2 : z(1~3년 생존율)
개별지표 표준화(z점수) : (원점수-평균점수(표준화구간))/표준편차(표준화구간)

폐업률 : (y년도 t분기) 폐업 점포수 / (y년도 t분기) 점포수 * 100
3년 생존률 : (t-3)년 신생기업 중 (t)년까지 생존한 기업수 /(t-3)년 신생기업수 * 100)
※ 표준화구간(해당 분기 포함 이전 3년) : 2014.1Q ~ 2016.4Q (해당분기:2016년 4분기)
※ Z 점수 : 3.0보다 크거나 -3.0보다 작을 경우 각각 3.0과 -3.0으로 간주

합성지수 표준화

창업위험도 = (z(1~3년 생존율) + z폐업률)/2, T점수 = Z점수 * 10 + 50
※ 표준화 : z점수
※ 결측데이터 처리 : 폐업수(0), 신생 점포수(null)
※ 개별지표 간 결합 시 하나의 지표가 결측값일 경우 나머지 하나의 지표로 지수 산출, 두개 지표 모두 없는 경우는 빈란



신생기업 생존율

정의 : 1~5년 전 신생기업 중 ‘기준 연도’까지 생존해 있는 기업의 비율을 의미함

• 생존은 기업체 신생 이후, t년까지 소멸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존속한 경우를 의미함
• 당해 연도 기업의 1~5년 생존율은 신생년도가 다르므로 n년 생존율이 n-1년 생존율보다 작을 수 있음
• 개•폐업이 거의 없는 업종은 생존율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수 있음

〈 (t)년도 생존율 산식 〉

1년 생존율 : (t-1)년 신생기업 중 (t)년까지 생존한 기업수/(t-1)년 신생기업수*100
5년 생존율 : (t-5)년 신생기업 중 (t)년까지 생존한 기업수/(t-5)년 신생기업수*100



연차별 생존율

정의 : 5년 전 신생기업 중 ‘기준 연도’까지 생존해 있는 기업의 비율을 의미함

〈 (t)년도 생존율 산식 〉

1년 생존율 : (t)년 신생기업 중 (t+1)년까지 생존한 기업수/(t)년 신생기업수*100
5년 생존율 : (t)년 신생기업 중 (t+5)년까지 생존한 기업수/(t)년 신생기업수*100



평균영업기간

정의 : 점포의 개업일자와 폐업일자를 기준으로 영업 지속 개월 수를 계산하고 평균하여 산출하는 정보

• 최근 10년 기준 : 현재시점으로부터 과거 10년간 개•폐업한 점포의 평균영업기간을 계산
• 최근 30년 기준 : 1990년부터 현재까지 개•폐업한 점포의 평균영업기간을 계산
• 서울상권검색/내점포분석 메뉴에서는 최근 10년 기준으로 정보제공

〈 평균영업기간 산식 〉

영업기간의 (폐업신고일-개업신고일) 평균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 로고

제공정보 안내

점포수

정의 : 사업자등록번호 기반 서울시 소재 사업체 정보

• 사업자등록번호 : 국세청에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발급받는 사업체 구분번호

〈 점포수 산식 〉

당기 운영 점포수 + 폐업 점포수



개/폐업률

정의 : 당기 개•폐업 사업체를 전체점포수로 나누고 100을 곱한 값

• 전체 점포수 : 폐업 이력이 존재하지 않거나 해당 기간 內 폐업일자가 있는 점포

〈 개•폐업률 산식 〉

(당기 개/폐업신고점포수÷전체점포수)×100



신생기업 생존율

정의 : 1~5년 전 신생기업 중 ‘기준 연도’까지 생존해 있는 기업의 비율을 의미함

• 생존은 기업체 신생 이후, t년까지 소멸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존속한 경우를 의미함
• 당해 연도 기업의 1~5년 생존율은 신생년도가 다르므로 n년 생존율이 n-1년 생존율보다 작을 수 있음
• 개•폐업이 거의 없는 업종은 생존율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수 있음

〈 (t)년도 생존율 산식 〉

1년 생존율 : (t-1)년 신생기업 중 (t)년까지 생존한 기업수/(t-1)년 신생기업수*100
5년 생존율 : (t-5)년 신생기업 중 (t)년까지 생존한 기업수/(t-5)년 신생기업수*100



연차별 생존율

정의 : 5년 전 신생기업 중 ‘기준 연도’까지 생존해 있는 기업의 비율을 의미함

〈 (t)년도 생존율 산식 〉

1년 생존율 : (t)년 신생기업 중 (t+1)년까지 생존한 기업수/(t)년 신생기업수*100
5년 생존율 : (t)년 신생기업 중 (t+5)년까지 생존한 기업수/(t)년 신생기업수*100



평균영업기간

정의 : 점포의 개업일자와 폐업일자를 기준으로 영업 지속 개월 수를 계산하고 평균하여 산출하는 정보

• 최근 10년 기준 : 현재시점으로부터 과거 10년간 개•폐업한 점포의 평균영업기간을 계산
• 최근 30년 기준 : 1990년부터 현재까지 개•폐업한 점포의 평균영업기간을 계산
• 서울상권검색/내점포분석 메뉴에서는 최근 10년 기준으로 정보제공

〈 평균영업기간 산식 〉

영업기간의 (폐업신고일-개업신고일) 평균



추정매출액

정의 : 3개 카드사의 카드승인금액을 기반으로 서울시의 보정비율을 곱하여 100개 생활밀접업종 매출액을 추정

추정매출액
항목 정보 출처 주요 내용
보정비율 서울시 연별/자치구/행정동/블록별/업종별 보정비율
카드승인금액 BC/KB/SH 월별/자치구/행정동/블록별/업종별 카드승인금액
추정매출액 서울시 추정매출액 = 카드승인금액 ÷ 보정비율


길단위 상존인구

정의 : KT 생활인구(내국인, 집계구)를 기반으로 10m 길이 단위로 생성된 길단위 상존인구


• 폭이 넓은 대로를 두개의 라인으로 분리하고, 보행이 불가능한 지역(도로 중앙, 도로간의 경계, 교차로 등)을 제외
• 1ha(1만㎡)당 인구밀도와 인구수 두가지 형태로 정보 제공



건물단위 상존인구

정의 : 기존 길단위 상존인구 배분로직을 수정/보완하여 상존인구를 건물단위로 배분


직장인구

정의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직장건강보험 가입자 기반으로 작성된 직장인구 DB에서 산출하는 정보

• 1ha(1만㎡)당 인구밀도와 인구수 두가지 형태로 정보 제공



주거인구

정의 : 서울시 공간정보담당관에서 주민등록주소 기반으로 작성된 상주인구 DB에서 산출하는 정보

• 1ha(1만㎡)당 인구밀도와 인구수 두가지 형태로 정보 제공



환산임대료

정의 : 최근 1년간 수집된 서울신용보증재단 내부자료를 기반으로 추정된 값

• 실제 시세와 오차가 있을 수 있으며, 임대료는 입지, 건물상태, 인지성에 따라 차이가 큼으로 현장 확인 필요

〈 환산임대료 산식 〉

(보증금 × 12%)/12 + 월세



가구세대

정의 : 서울시 공간정보담당관에서 제공된 아파트 DB(아파트 세대수) 및 상주인구 DB(전체 세대수) 기반으로 아파트 세대수 및 비아파트 세대수를 산출하는 정보

〈 가구세대 산식 〉

비아파트 세대수 = 전체 세대수 – 아파트 세대수



소득정보

정의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료 납부 20분위를 기준소득월액으로 환산하여 주거지 기반으로 소득분위(10분위)를 산출하는 정보



아파트 정보

정의 : 서울시 공간정보담당관에서 제공된 아파트 DB를 기반으로 산출하는 정보



주요 집객시설

정의 : 서울시 소재 관공서, 금융기관, 병원, 학교, 유통점, 문화관광(영화관), 숙박시설, 교통(정류장, 지하철) 등 인구집중 유발시설 정보



교통카드 정보

정의 : 서울시 교통정책과에서 제공하는 스마트카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하는 정보



금융비용 정보

정의 : 소상공인이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차입한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

한국신용정보원과 공동 작성 정보

금융비용 정보
항목 정보 출처 주요 내용
대출잔액 한국신용정보원 월별 대출잔액
평균금리 한국은행 월별 예금은행 가중평균금리(연 단위)
(중소기업대출 잔액 기준)
금융비용 서울신보 대출잔액 × 평균금리 ÷ 12(월 단위)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 로고

제공정보 안내

상권변화지표

정의

상업공간의 변화를 생존 및 폐업 사업체의 평균영업기간을 기반으로 상업공간을 4개로 분류

구축내용
  • 초록(LL)(다이나믹)
  • 노랑(LH)(상권확장)
  • 주황(HL)(상권축소)
  • 빨강(HH)(정체)
상권변화지표
생존한 사업체의
평균영업기간
폐업한 사업체의 평균영업기간
Low High
Low LL LH
High HL HH
  • 초록(LL) : 특정시점 사업체의 영업기간이 서울시 평균 생존 및 폐업영업기간 대비 평균 생존영업기간 ▼, 평균 폐업영업기간 ▼
       → 도시재생 및 신규 개발 상권으로 창업 진출입시 세심한 주의 상권(지역)
  • 노랑(LH) : 특정시점 사업체의 영업기간이 서울시 평균 생존 및 폐업영업기간 대비 평균 생존영업기간 ▼, 평균 폐업영업기간 ▲
       → 경쟁력 있는 신규 창업 우위 상권(지역)
  • 주황(HL) : 특정시점 사업체의 영업기간이 서울시 평균 생존 및 폐업영업기간 대비 평균 생존영업기간 ▲, 평균 폐업영업기간 ▼
       → 경쟁력 있는 기존 업체 우위 상권(지역)
  • 빨강(HH) : 특정시점 사업체의 영업기간이 서울시 평균 생존 및 폐업영업기간 대비 평균 생존영업기간 ▲, 평균 폐업영업기간 ▲
       → 창업 진출입시 세심한 주의 상권(지역)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 로고

제공정보 안내

상권활성화지수

정의 : 특정 지역에 형성된 상권에 대하여 다양한 평가요인의 영향력을 지수화하고, 이들을 종합하여 서로 다른 상권간 활성화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지수

지수의 구성

• 상권발달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요인들을 지수화하고, 이를 종합하여 전체지수 산출
• 개별 지수는 5가지로 구성
  1) 매출 지수: 고객이 구매한 매출액을 통한 상권의 활성화 정도
  2) 인프라 지수: 고객이 모일 수 있는 기반시설의 정도
  3) 가맹점 지수: 상권 내 가맹점의 양적/질적 규모의 정도
  4) 인구 지수: 지역 상권을 이용 가능한 잠재적 고객 인구
  5) 금융 지수: 해당 지역 거주자의 소득 및 소비 수준


활용 데이터

• 개별 지수 산출을 위해 활용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음
  1) 매출 지수: 연평균 승인건수, 연평균 가맹점당 평균 매출금액
  2) 인프라 지수: 버스 이용객수, 집객시설수, 외감기업수
  3) 가맹점 지수: 단위면적당 일반/프랜차이즈 가맹점수, 년간 단위면적당 개/폐업 점포수
  4) 인구 지수: 일평균 유동인구, 주거인구, 직장인구
  5) 금융 지수: 월평균 소득총액, 월평균 소비총액


지수의 제작

• 지수 제작 과정은 총 7 단계로 구성

※ 가중치 산정 과정

지수 개발 결과 및 해석

• 개별지수를 통해 도출된 전체 지수를 등분위(Quantile)방식을 이용하여 10등급으로 분류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 로고

제공정보 안내

관광활성화지수

지수 개발의 배경 및 목적

• 관광특구상권 이외 관광활성 지역 관리 및 개발 필요
• 젠트리피케이션 및 상권변화 등을 분석하기 위한 참고자료의 필요
• 향후 관광 활성화 관련 정보의 시각화를 위한 공간단위 지수 개발 필요


개념 및 정의

• 관광
• 방문객의 특성에 따라 외국인(단기체류 외국인)과 내국인, 그리고 종합


지수의 구성 및 활용 데이터

• 방문객의 특성에 따라 외국인(단기체류 외국인)과 내국인, 그리고 종합의 세 가지로 구성
  1) 외국인
    - 단기체류 외국인의 유동인구 및 소비(매출)정보를 활용
  2) 내국인
    - 내국인 상주인구, 주말 및 생활인구 및 소비(매출)
  3) 전체
    - 외국인과 내국인 관광활성화지수의 산술평균


계산 방식

〈 외국인 관광활성 지수 〉

- (z(외국인 단기체류율) + z(외국인 소비율))/2, T점수 = z점수 × 10 + 50
ex) 개별변수 표준화(z점수) : (원점수 – 평균점수(표준화구간))/표준편차(표준화구간)
- 단기체류율 = (y년도 t월) 단기체류 인구수 / (y년도 t월) 단기체류 전체인구수 × 100
- 소비(매출)율 = (y년도 t월) 소비(매출) 금액 / (y년도 t월) 소비(매출) 전체 금액 × 100

〈 내국인 관광활성 지수 〉

- 주말 (z(내국인 생활인구 - 상주인구) + z(내국인 소비율))/2, T점수 = z점수 × 10 + 50
ex) 개별변수 표준화(z점수) : (원점수 – 평균점수(표준화구간))/표준편차(표준화구간)
- 주말 상존율 = (y년도 t월) (생활인구 인구수 – 상주인구)/ (y년도 t월) (생활인구 – 상주인구) 전체인구수 × 100
- 주말 소비(매출)율 = (y년도 t월) 주말 소비(매출) 금액 / (y년도 t월) 소비(매출) 전체 금액 × 10

〈 관광활성 지표 〉

관광활성 지수를 아래 기준에 따라 4단계로 구분
ex) (T값은 20 – 80의 실질점수)
- 1단계(매우 활성) : T(관광활성도)값이 60 이상
- 2단계(활성) : T(관광활성도)값이 51 초과 ∼ 60 미만
- 3단계(보통) : T(관광활성도)값이 40 초과 ∼ 51 미만
- 4단계(저조) : T(관광활성도)값이 40 이하